콜건적 뜻! 제로 콜라 건강 부작용 카페인 알고나면 못 마실걸?

콜라 많이 마시는 분은 하루에 1.5L 한 병을 마시기도 한다고 합니다. 코카콜라 특유의 탄산의 시원함 때문에 끊기가 쉽지 않은데요.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에 최근 다이어트 콜라, 제로 콜라 등이 대체품으로 나왔다고 합니다. 콜건적 뜻 및 제로 콜라 카페인 부작용 효과 등을 알아 보겠습니다.

일단 알고 나면 못 마신다는 콜라 부작용이 먼지 알아보겠습니다.

제로 콜라 콜건적 뜻
제로 콜라 콜건적 뜻

콜라 부작용 알고나면 못 마실걸?

1. 콜라 1캔에는 무려 설탕 10 티스푼이 들어 있습니다.

콜라 제품 중에는 펩시콜라 27.0g, 코카콜라 26.8g의 당 성분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믹스 커피 한 잔 12g 한 봉지엔 설탕이 5~6g 들어있는데 WHO에서 권고하는 하루 당류 적정 섭취량은 25g인 걸 생각하면 엄청나죠. 설탕은 당뇨 뿐만 아니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 건 말할 필요도 없죠.

잠깐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전 그럼 다른 음료수에는 얼마나 들어있을까요?

음료수 별 설탕 함유량

  • 코카콜라 9개 반 (이하 티스푼 기준)
  • 레드불 9개
  • 게토레이 8개 반
  • 스프라이트 10개 반
  • 핫식스 7개반
  • 비타민 워터 5개반
  • 미닛 메이드 9개
  • 빙그레 바나나우유 6개 반
  • 바닐라 쉐이크 12개
  • 덴마크 요구르트 딸기맛 7개 반
  • 모카 프라프치노 1잔 10개
  • 카라멜 마끼아또 1잔 5개 반
  • 라거 맥주 1g 전후

한 마디로 이야기하면 탄산음료가 같은 양에 설탕이 조금 더 많을 뿐 시중에 나와있는 음료수는 모두 슈가 덩어리 입니다. 참고로 여기서 다른 분들이 잘 모르시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면 설탕도 당분의 일종으로 음식을 섭취하면 무조건 당분이 섭취됩니다. 밥만 먹어도 설탕을 석취하는 것과 같습니다.

음식 별 설탕 함유량

음식 별 당 함유량
음식 별 당 함유량
  • 공깃밥 1그릇 각설탕 20개
  • 짜장면 각설탕 15개
  • 떡볶이 각설탕 9개
  • 캔커피 각설탕 7개
  • 팥빙수 각설탕 29개
  • 이온음료 각설탕 10개

최근 당뇨병 환자가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가 밥부터 시작해서 모든 음식에 설탕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설탕만 생각하면 시원한 라거 맥주 330ml에는 150칼로리에 설탕은 1g 정도 밖에 안됩니다. 하지만 많이 마시면 똑같이 혈당 상승 위험이 있습니다.

(이런 거 알고 나면 사실 물 말고는 먹을 게 없을 정도 입니다.)

2. 콜라는 치아를 부식시키며 충치를 유발합니다.

콜라에 치아를 담궈두면 그대로 부식되는 실험 때문에 놀라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콜라는 pH 2~3 정도의 강한 산성 상태의 음료수 입니다. 콜라의 설탕 보다 산성 성분과 탄산 때문에 치아를 보호하는 에나멜을 부식시켜 충치를 만들게 됩니다.

(제로 콜라 산도 pH 3.0~3.4 로 똑같습니다.)

콜라 치아 부식 실험
콜라 치아 부식 실험

3. 콜라를 많이 마시면 뼈가 약해지고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커집니다.

이건 콜라 뿐만 아니라 모든 탄산 음료를 많이 마시게 되면 인산 성분 때문에 칼슘 흡수를 방해하면서 몸에 있는 칼슘을 배출시켜서 골밀도를 떨어뜨립니다. 골밀도가 떨어지면 골다공증 위험성이 커지는데 그러면 쉽게 뼈가 부러지는 등 부작용이 심각합니다.

4. 콜라의 당분은 간이 지방으로 변화시켜 살이 찌는 비만의 원인이 됩니다.

콜라 많이 마시는 사람일수록 뚱뚱한 경우가 많은데요. 그 이유는 콜라의 당분은 간이 지방으로 바꾸게 되면서 대장, 췌장 등에 내장 지방으로 축적하게 되서 결국 비만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비만이 점점 심해지면 고혈압, 당뇨, 심장병 같은 성인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5. 슈가 크래시 현상

슈거 크래시 현상이란 콜라 등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료수를 마시고 난 다음 40분 전후에는 혈압이 상승하고 졸음을 방지하며 도파민(쾌락을 느끼게 하는 물질)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1시간 정도 지나면 슈거 크래시 현상으로 피로와 졸음을 느끼는 현상입니다.

(콜라 중독으로 이어지는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합니다.)

6. 뇌 손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의 측두엽에 있는 해마가 손상되면서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기에 뇌가 손상되면 시간이 지나도 회복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제로 콜라 등에 들어있는 아스파탐 같은 인공감미료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7.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콜라에 사용되는 카라멜 색소를 암모니아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된 4 ㅡMI가 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콜라 한 캔을 매일 마시면 4 MI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서 건강을 해치는 음료수인 것은 맞습니다.

그 외에도 이뇨 현상 (소변이 마려운 현상), 당뇨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많은 방부제와 산미제, 화학첨가물 등은 인체에 들어갔을 때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장기간 많이 콜라를 마시면 신체 건강에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당연합니다.

콜건적 뜻!

콜건적이란 MZ 세대 사이에 유행하는 신조어로 다른 건 그대로 먹지만 콜라만은 제로콜라로 건강하게 적당히 마신다는 의미입니다. 다이어트 콜라, 제로콜라를 마시면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맛있게 먹으면 0칼로리라는 다이어트, 전자담배는 담배가 아니라는 거랑 똑같은 이야기입니다.

그럼 과연 제로 콜라는 건강에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콜라 많이 마시면
콜라 많이 마시면

제로 콜라 건강 효과 있나요?

최근 제로 콜라, 제로 사이다 등을 찾는 콜건적 들이 MZ 사이에서 늘어나고 있다는데요. 제로콜라는 설탕 대신 대체당인 아스파탐이 들어갑니다. 참고로 제로 사이다는 합성감미료 수크랄로스와 당알코올의 일종인 에리스리톨 등을, 밀키스 제로는 천연당 알룰로스 등으로 설탕을 대체 합니다.

제로콜라 효과에 대해서는 일단 설탕보다 위험성이 낮다는 의미에서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천연당 알룰로스 같은 경우에는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열량이 낮으면서 지질 흡수를 억제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로콜라에 들어있는 것은 대체당인 아스파탐이 들어가 있는데 문제는 아스파탐이 발암가능물질이라는 것입니다.

제로콜라 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

아스파탐은 안전한 것으로 전 세계 125개국에서 승인된 제품으로 설탕과 같은 천연 단맛을 냅는 물질입니다. 무려 설탕의 200배 단맛이 나는 아미노산 기반 감미료로 미국 FDA 등에서 안전하다고 하지만 최근 WHO 연국에서 발암 가능물질로 분류되기도 했습니다.

WHO 산하 식품첨가물 전문가 위원회 (JFCFA)는 2023년 발암위험도 2군중 발암 가능 물질 2B군으로 분류되었는데요. 이때문에 한 때 논란이 크게 되었지만 WHO의 하루 섭취 권고량은 체중 1kg당 40mg으로 몸무게 60kg 기준 하루 섭취량은 무려 5L에 달합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다이어트 콜라(250mL)에는 아스파탐이 보통 43㎎ 들어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발암물질이 1군, 발암 추정 물질이 2A군으로 2B군은 위험도가 그래도 낮은 편입니다.)

즉 성인 기준으로는 하루 1리터 (캔콜라 3~4개) 정도 마시는 것은 크게 무리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이는 성인에 한한 것이고 초등학생이나 청소년기의 학생들의 경우에는 제로콜라를 많이 마시게 될 경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콜건적도 좋지만 많이 마시면 안 좋다는 것입니다.

제로콜라에 대한 잘못된 상식

제로콜라는 당뇨병 환자들도 마실 수 있다?

한 때 당뇨병환자들도 마셔도 된다는 얘기를 하기도 했는데요. 인공감미료를 장기간 섭취하면 인슐린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당노병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꼭 설탕이 아니라도 콜라에는 당뇨병 환자에게 좋지 않은 성분이 많습니다.

제로 콜라는 일반 콜라 보다 건강에 좋다?

콜라 부작용을 위에서 먼저 설명했지만 콜라에 들어 있는 인 성분은 칼슘 흡수율을 저하시켜서 골밀도를 감소시켜서 골다공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제로콜라 또한 산도가 높아서 치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똑같습니다. 그리고 제로콜라 속 탄산은 트림과 더부룩한 증상을 심화시킬수 있어서 역류성 식도염 등의 소화기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조심해야 합니다.

아스파탐 제로 콜라 많이 마시면
아스파탐 제로 콜라 많이 마시면

제로 콜라 카페인 함량

음료수 별 카페인 함량
음료수 별 카페인 함량

콜라 카페인 함유량 100ml 당 9.7 mg

보통 콜라 1캔은 250ml, 아니면 355ml로 콜라나 제로 콜라 차이는 설탕(나트륨도 절반)을 제외하면 카페인, 산도 등은 거의 비슷합니다. 보통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한 잔에 들어잇는 카페인이 150mg인 것에 비하면 적은 편이지만 분명히 카페인이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제로콜라 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코카콜라 제로제로 경우는 카페인 함량이 거의 없는 제품이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코카콜라 제품별로 보면 12온스 (355ml 기준) 기준으로 오리지날 34mg, 코카콜라 라이트 46mg, 코카콜라 제로 34mg, 코카콜라 제로제로 거의 없음 입니다.

참고로 카페인 반감기는 4시간으로 4시간이 지나면 함량이 절반으로 떨어집니다. 따라서 아침에 마신 콜라, 커피와 저녁에 마신 콜라, 커피의 영향은 차이가 납니다. 카페인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제로제로 제품으로 드실 것을 추천합니다.

콜라 대체 음료

제로 콜라 부작용 및 효과
제로 콜라 부작용 및 효과

콜라를 건강하게 마시기 위해서 제로콜라를 마시는 것이 콜건적인데요. 콜라의 탄산도 중독이 있어서 막상 마시지 않으면 스트레스 받으시는 분이 많으실 텐데요. 그런 분이 마실 만한 탄산 음료로는 콤부차 또는 탄산수 등이 있습니다.

제로 슈거 제품에 저칼로리, 무설탕 음료라고 하지만 건강에 좋은 것은 아니죠? 많이 마시면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이 콜라입니다. 그런데 어떤 것을 마셔도 많이 마시게 되면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은 똑같다고 합니다. 건강에 좋은 음료수를 찾으신다면 석류주스, 녹차, 홍차, 적포도주, 포도주스, 블루베리 주스 등이 더 좋다고 합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음료수들은 모두 일정량 이상 설탕이 들어있으니 물 마시는 것이 가장 건강에 좋습니다. 건강 지킨다고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 신세계상품권 현금화 교환 방법 수수료 사용처 (+ 다오티켓 업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