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 최한성 기자는 경기·수도권 최대 민영방송 OBS의 보도국 소속 기자로 활동해왔습니다. 산업·통상·에너지 정책과 현장 르포, 정책 소통 등 국가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 보도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 정책을 알기 쉽게 설명해 시청자와 국민의 이해를 넓히는 데 힘쓴 공로로 2025년 1월 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현장감 있는 기사, 산업 발전·수출 확대에 기여한 결과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2025년 7월 대통령실 브리핑장에서 강유정 대변인과의 설전이 크게 화제가 되었습니다. 대통령의 비공개 일정에 관한 질의를 강행하였으며, 이에 정부 대변인과의 긴장감 있는 공개 문답이 벌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문도 못 합니까?” 등의 발언으로 브리핑장의 분위기를 이례적으로 달궜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을 기점으로 사회적 논란이 일었습니다. 생중계 공식 프리핑 질의응답 시간에 비공개 일정에 대해 반복적으로 질문하는 것은 기자 윤리에 어긋난다는 비판과 함께, 동료 언론인들과 시청자들 사이에서 기자 개인의 신상 발언과 공적 질의의 경계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최한성은 회사로부터 인사조치(징계)를 받았으며, 해당 논란은 언론의 공적 책임과 직업윤리에 대한 지속적인 논란으로 남았습니다. OBS 최한성 기자는 자신에 대한 해명성 발언과 더불어 “사이버폭력 피해 호소” 및 “회사 내 징계처분에 따른 부당함”도 공식 발언 시간에 직접 언급해 또 한 번 언론계 화두가 되었습니다.
일부에서는 한 언론사의 대통령실 출입기자에서 퇴출되는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대변인은 “공적 브리핑 공간은 신상발언장이 아니다”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공직 질서의 엄격함을 환기했습니다. 최근까지 소통, 국가 정책에 대한 현장 보도, 시청자와의 활발한 소통을 이어오다 이번 사안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OBS 기자 최한성 프로필 소개합니다.
최한성 기자 프로필
- 영어이름 Choi Han Sung | 본명 최한성
- 생년월일 –
- 고향 – | 국적 대한민국
- 현재 거주지 (집) –
- 키 – | 몸무게 – | 혈액형 – | MBTI – | 종교 –
- 학력 – | 군대 –
- 가족 배우자 -, 자녀 -, 부모님 –
- 소속 OBS 경인 TV
- 개인 SNS 인스타그램 Instagram, 페이스북 ,
목차
OBS 최한성 기자 A to Z
- OBS 보도국 산업·통상·에너지 전문기자
- 정책 소통, 산업 발전 및 국가 에너지 정책 관련 심층 보도
- 2025년 1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
- 2025년 7월 대통령실 출입기자로 공개 브리핑장 공식 발언 및 논란
- 2025년 7월 회사 출입기자 인사조치
최한성 기자 수상 이력
- 2025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윤석열 정부)
최한성 기자 엠바고 인사 조치
2025년 7월, 방송사 OBS 소속 최한성 기자는 이재명 대통령 비공개 행사와 관련된 정보를 공식적인 엠바고(보도 제한) 규정을 위반하며 공개적으로 보도하여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이후 대통령실 브리핑장에서의 ‘비공개 일정’ 질의와 공개 신상발언 논란으로 회사에서 인사조치를 받았습니다. 이후 징계성 인사 조치로 OBS는 출입기자를 교체하였다는 후속보도가 이어졌고, 기자로서의 직업윤리, 브리핑장 Q&A 운영원칙, 언론의 자유와 책임에 대한 논의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일부 행사의 비공개와 엠바고를 엄격히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항을 최한성 기자가 중계 혹은 질문 과정에서 그대로 노출했습니다. 엠바고란, 보도자료나 공식 행사의 경우 일정 시간 이후 공개를 약속받고, 언론사 간 신뢰를 토대로 지켜지는 원칙입니다. 반면, 비공개 일정은 일체 언론에 공개되어서는 안 되는 보안 사항에 해당합니다.
OBS 최한성 기자는 “질문도 못 하냐”라는 반론을 펼쳤지만,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비공개 일정과 엠바고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며 신상발언을 자제해달라고 공지했습니다. 논란 발생 이후 최한성 기자는 회사로부터 인사조치(징계)를 받았으며, 해당 보도나 질문 방식에 대한 내부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OBS 최한성 엠바고 사건은 대통령 비공개 일정이나 보도 제한의 엄격성과 언론의 권리, 기자윤리 사이의 긴장 관계를 드러냈습니다. 비공개·엠바고 규칙을 의도적으로 어긴 행동에 대해 “언론 자유”와 “국가 안보”의 경계, 그리고 공직 수행자의 정보관리 책임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됐습니다.
해당 브리핑 현장에서는 질문 방식과 신상 발언, 기자 본인의 입장 표명 등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언쟁도 있었습니다. SNS와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비공개 사항 질의의 적절성, 기자의 공적·사적 발언 한계, 대통령실 공식 브리핑 절차 등이 다각적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